CentOS 설치
DVD Image 로 부팅을 하면 최초 설치 화면을 볼수 있습니다.
OS 장애시에도 DVD Image 를 사용하기도 합니다. 설치시에는 Install CentOS 7 을 선택 합니다.
Install CentOS 7 을 선택 합니다.
설치 언어 선택
사용할 언어를 선택 합니다. Desktop 을 쓴다고 하면 한글을 사용하겠지만 서버 환경에서는 Default 로 선택되어 있는 English 로 사용 하는것이 편합니다.
English 를 선택후 Continue 를 클릭합니다.
INSTALLATION SUMMARY 설치 요약 정보
설정할수 있는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.
LOCALIZATION
DATE & TIME : System 에서 사용할 Timezone 을 설정 할수 있습니다.
KEYBOARD : System 에서 사용할 키보드 선택
LANGUAGE SUPPORT : System 에서 사용할 언어설정
SOFTWARE
INSTALLATION SOURCE : 설치 미디어 선택 NETWORK 설치 및 CD-ROM 으로 설치 할수 있습니다.
SOFTWARE SELECTION : OS 설치시 설치할 패키지 선택
SYSTEM
INSTALLATION DESTINATION : OS 설치가 될 HardDisk 의 파티션작업을 할수 있습니다.
KDUMP : OS 장애시 KDUMP 설정을 통하여 OS Dump 를 떨어 트릴수 있습니다.
NETWORK & HOSTNAME : IP 설정및 System Hostname 을 설정 할수 있습니다.
SECURITY POLICY : System 보안 설정을 할수 있습니다.
설정 DATE & TIME 클릭하여 Timezone 을 변경 합니다. Asia Seoul 로 변경후 Done 을 클릭 합니다.
SYSTEM 항목 에서 INSTALLATION DESTINATION 을 선택 합니다.
Other Storage Options 에 Partitioning 이 Automatically configure partitioning. 이 선택 되어 있습니다.
I will configure partioning. 으로 변경후 Done 을 클릭 합니다.
MANUAL PARTITIONING (수동 파티션 설정)
OS 영역 영역의 경우
사용방법에 따라 다르겠지만 /boot , 영역의 경우 일반적으로 lvm 이 아닌 Standard Parition 으로 구성 합니다.
/boot 2G (kernel-upgrade 시 boot 용량이 증가 합니다. 예전 centOS 5 까지는 512m 정도로 설정 하였지만 CentOS 7 에서는 2G ~ 4G 가 적당할것으로 보입니다.)
swap (Memory 용량의 약 1배 16G 까지 32G 서부터는 약 반배만 설정 합니다. ) 사용용도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 하면 됩니다.
swap 설정의 자세한 내용은 Redhat Site : https://access.redhat.com/ko/node/744483 에서 확인 할수 있습니다.
/ (별도의 파티션으로 /usr /home /var /tmp 를 설정 하지 않는다고 하면 HardDisk 의 최대 사이즈로 지정 할수 있습니다.)
/home (일반유저 디렉토리로 사용자가 많은 경우 높게 설정해야 합니다.)
/var (log 및 db data 의 Default 저장 디렉토리 입니다. log 저장을 많이 하는 System 에서는 Size 를 크게 설정 해야 합니다.)
일반적으로는 /boot , swap , / , /home , /var 정도만 설정하여도 무방 하며 OS 영역이 아닌 일반 Data 의 경우 NFS / SAN 등으로 볼륨을 추가 하여 DATA 를 저장하여 사용 합니다.
KDUMP 이용시 /var/crash 가 설정되어야 하며 일반적으로 메모리의 약 1.5 배로 설정을 합니다.
Create new mount points by clicking the + button. New mount points will use the following partitioning scheme:
에서 Standard Partition 을 선택 합니다.
+ 버튼을 눌러 파티션을 추가 할수 있습니다.
/boot 파티션 생성
/boot 디렉토리 2G Size 로 파티션을 생성 합니다.
Add mount point 를 클릭 합니다.
Mount Point: 경로 설정
Desired Capacity: 용량
Add mount point 를 클릭하여 boot 파티션을 생성 합니다.
swap 파티션 생성
swap 의 경우 별도로 Mount Point 가 필요 없습니다.
Mount Point : swap
Desired Capacity: 4G 로 설정 합니다.
Add mount point 를 클릭하여 swap 파티션을 생성 합니다.
/ 파티션 생성
Mount Point : /
Desired Capacity: 용량이 설정 되지 않으면 HardDisk 의 최대 용량으로 설정 됩니다.
Add mount point 를 클릭하여 / 파티션을 생성 합니다.
파티셔닝 작업이 끝났습니다.
Done 을 클릭 합니다.
SUMMARY OF CHANGES 변경사항 요약
Accept Changes 를 클릭 합니다.
INSTALLATION SUMMARY
처음 설정 하였던 화면으로 돌아 왔습니다. 추가적인 패키지 설치 및 NETWORK 설정 Hostname 변경 등의 작업은 차후에 진행할수 있습니다.
Begin Installation 을 클릭 하여 설치를 진행 합니다.
CONFIGURATION
Begin Installation 을 클릭하면 파티셔닝 작업후 선택한 패키지로 설치가 진행 됩니다.
USER SETTINGS 에서는 ROOT PASSWORD 설정 , USER CREATION 을 진행 할수 있습니다.
ROOT PASSWORD 를 선택하여 관리자 암호를 설정 합니다.
ROOT PASSWORD 관리자 암호 설정
Root Password 설정을 한후 Done 을 클릭하여 관리자 암호를 설정 합니다.
OS 설치가 완료 되었습니다. Reboot 을 클릭 하여 설치를 마무리 합니다.